Engineering/Automotive
-
[Chassis]ESC/VSMEngineering/Automotive 2021. 2. 15. 18:46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이란 운전자 입력과 주행의 조건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나 각 차륜 제동력을 제어하여 차량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장치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ABS와 TCS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ESC 제어의 효과는 언더스티어와 오버스티어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언더스티어(Understeer) : Drift out 방지, 선회 시 바깥쪽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궤적 추종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오버스티어(Oversteer) : Spin out 방지, 선회 시 선회 안쪽으로 밀려오는 현상을 방지하여 차랑의 주행 안정성 향상 Bosch와 Memercedes-benz 사의 ESP(Electronic Stabili..
-
[Chassis]Wheel Speed SensorEngineering/Automotive 2021. 2. 14. 22:39
오늘은 바퀴의 Encoder 역할을 하는 Wheel Speed Sensor에 대해서 알아보자. 휠 스피드 센서는 Fig.1처럼 휠 베어링과 연동시켜서 회전하는 톤 휠의 속도를 감지해내어 EC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서 ABS, TCS, ESC와 같은 제동 ECU는 물론 휠 속도 Feedback 값이 필요한 곳에 전달된다. 휠속 센서는 Fig,2처럼 크게 Passive 방식과 Active 방식이 있다. 아날로그 펄스 주파수를 활용한 Passive 방식 디지털 펄스 주파수를 활용한 Active 방식 이러한 휠 속도는 정확한 Feedback을 위해 보조 센서를 함께 사용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Reference Fig.1 : www.catoo.com/QnA/QnAServiceView.aspx..
-
[Chassis]SBWEngineering/Automotive 2021. 2. 13. 23:13
SBW(Steer-by-Wire)는 미래형 조향 시스템이다. 미래에 조향시스템은 크게 능동형 조향 시스템(Active Steering), Steer-by-Wire, 리던던시 시스템으로 변해갈 전망이다. 그중 닛산(Nissan)이 양산까지 성공한 통신, 엑츄에이터, 센서 리던던시 시스템과 세계 최초의 SBW가 적용된 인피니티 Q50 모델을 보면 자동차 산업이 추구하는 미래형 기술에 대해 전망해볼 수 있다. 기존의 U-Joint와 같은 구조의 제어기에서 전선 다발로 이어진 제어 모듈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Q50에 적용된 steer by wire 기술은 3가지의 휠 센서, 제어 모듈(ECU)를 통해 좌우 방향 제어가 이루어진다. R-MDPS에 비해 사용되는 부품 수가 줄고 기계적인 부품이 전장으로 ..
-
[Chassis]e-LSDEngineering/Automotive 2021. 2. 12. 20:48
e-LSD(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tial)란 노면 조건이나 차량의 주행 상태를 ECU에서 판단한 뒤 액츄에이터를 작동하여 다판 클러치 체결력을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좌/우 바퀴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e-LSD의 부품 구성은 ECU, 피스톤, 다판 클러치, 피니언/사이드 기어, 모터로 이루어져 있다. 동력을 출력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다. ECU 좌/우 구동력 연산 모터 전자제어 펌프 유압생성 피스톤 작동 다판 클러치 마찰력 발생 동력 전달 e-LSD의 기본적인 기능은 선회시 좌우륜의 회전차를 흡수하는 역할, 좌우륜간 적절한 구동력 배분, Yaw 제어이다. Yaw 제어의 경우 기존의 기어식 LSD(m-LSD)가 할 수 없었던 Yaw 제어 기능이 추가됐다는 점이 눈..
-
[Chassis]TCSEngineering/Automotive 2021. 2. 10. 19:15
TCS(Traction Control System)는 ABS의 제동 상황과 달리 주행 시에 차량을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빙판길이나 미끄러운 노면 상황에서 발진 혹은 가속 시 제동력과 동력 제어를 적절하게 각 바퀴에 배분함으로서 슬립을 방지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고 생각하면 된다. [Chassis]ABS 제동장치는 주행중인 자동차를 감속 시키고, 혹은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장치인 ABS에 관해 알아보자. ABS(Anti-lock Brake System)은 차량이 제동시 차륜의 슬립 tituschoi.tistory.com TCS는 따라서 미끄러운 노면(빗길, 눈길, 빙판)와 같은 상황에서 차체의 안정성 확보를 꾀하며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
-
[Chassis]ABSEngineering/Automotive 2021. 2. 9. 21:57
제동장치는 주행중인 자동차를 감속 시키고, 혹은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장치인 ABS에 관해 알아보자. ABS(Anti-lock Brake System)은 차량이 제동시 차륜의 슬립량을 판단해 각 바퀴마다 브레이크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서 차륜이 잠기는 상황을 방지해주는 시스템이다. 차륜이 미끄러지면 제동 압력이 적절하게 제어되어 제동 안정성을 확보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제동 상황에서 차량이 Spin되지 않도록 제동장치가 완전히 잠기지 않도록 최적의 제동거리를 구현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제동을 했을 때 장애물 회피 상황에서 ABS가 작동하는 것은 Fig.3과 같이 나타난다. 비가 온 노면에서도 ABS는 차량이 안전하게 제동될 수 있도록 한다. ABS의..
-
[Paper Riview]Review of Integrated Vehicle Dynamics Control ArchitecturesEngineering/Automotive 2021. 2. 8. 15:16
'Integrated Vehicle Dynamics Control Architectures'를 리뷰한 논문이다. Chassis control system에 활용되고 있는 downstream structure의 장점에 대해 담고 있다. Fig.1은 전체적인 Downstream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은 각 장치는 아래와 같은 역할을 한다. 4WD는 상시 4륜구동 토크 벡터링은 다판 클러치를 기준으로 좌우 구동력을 조절하는 장치 EPAS는 기존에 설명했던 MDPS와 같은 스티어링 휠 장치 4WS는 동상제어와 역상제어 ESP는 ABS와 TCS를 합친 차량 자세제어 장치 Adaptive Suspension은 전자제어현가장치 ECU에서 각 연산을 통해 출력된 결과는 Actuator에 전달되어..
-
[Chassis]MDPSEngineering/Automotive 2021. 2. 7. 19:58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란 현대자동차그룹의 전자식 조향장치를 의미하고 다른 회사의 제품은 보통 EPS(Electric Power Steering)와 같이 불린다. 회사 고유의 이름이 따로 있듯 MDPS 기술력은 20년 이상된 현대자동차그룹의 내제화된 기술이며 우리가 현재 타고 있는 승용차, 상용차에 적용된 기술이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렇다면 오늘은 기존 유압식 스티어링 대비 3~5%의 효율성을 가지고 있는 두가지 종류의 MDPS를 분석해보기로 하자. Fig.1은 C-MDPS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는 C는 조향축(Column)의 앞글자를 따왔다. U-Joint(Universial Joint)와 연결된 조향장치이다. 구성은 ECU, 모터, 센서(토크&조향각), 웜..